리뷰관련 표기 : | 본 리뷰는 MK2(http://www.mk2.co.kr/)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진행되었습니다. |
---|
▲ 전면베젤부는 쉽게 분리가 되지만 상단 덮개는 별도의 손잡이 구조물이 없어 사용자에 따라서는 분리시 다소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 전면하단에는 120mm 쿨링팬을 추가 장착할 수 있도록 나사홀이 제공되며, 5.25인치 베이 가이드는 3번째 베이만 있습니다.
▲ 노출형 3.5인치 베이는 HDD 또는 3.5인치 가이드를 이용하여 SSD 등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 상단 덮개를 제거해야 상단에 기본 장착된 120mm 쿨링 팬을 분리할 수 있는데 상단 덮개의 분리는 다소 불편한 편입니다.
▲ 상단 덮개에 연결된 케이블의 커넥터 들입니다.
HDD Dock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과 SATA Data 케이블 커넥터, USB2.0 포트에 연결할 수 있도록 USB2.0 커넥터와 온보드 타입의 USB3.0 커넥터와 후면부에 연결할 수 있는 USB3.0 커넥터 등을 제공합니다.
▲ 5.25인치 베이 덮개는 탈부착형이지만 하단의 베어 덮개 구조물은 탈부착형이 아닌 고정형입니다.
▲ 베이 덮개는 타공망 안쪽에 먼지 필터를 제공합니다.
▲ 전면베젤부 하단에도 먼지 필터가 제공됩니다.
▲ 동봉된 부속품들은 2개의 멀티 브라켓과 최상단에서 분리된 베이 덮개, 조립에 필요한 나사류와 케이블타이, 사용자 설명서 등이 담긴 미니 지퍼백 등을 제공합니다.
▲▼ 사용자 설명서는 내용이 부족한 편입니다.
▲ 5.25인치 베이와 3.5인치 베이에는 고정툴이 제공되지만(3.5인치 베이의 경우 절반만 제공) 나사류는 다소 부족한 편입니다.
▲▼ 제공되는 멀티 브라켓을 이용하여 120mm 쿨링팬, HDD와 SSD 등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 Gigabyte P55A-UD6 를 장착하였습니다. 케이스의 깊이가 깊지 못하다 보니 꽉찬 느낌이 듭니다. 장착된 CPU cooler는 쿨링팬이 장착된 높이까지 150mm인 써모랩의 Trinity로 듀얼 팬 구성을 하였습니다.
▲▼ DB 상에서 최대 300mm의 대형 VGA도 장착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어 트리플 쿨링팬으로 인해 길이가 약 293mm인 GTX275 왕대박을 장착해 보았습니다. 히트파이프 끝이 5.25인치 베이로 들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길이가 긴 VGA 사용시 ODD는 장착이 되지 않게 됩니다.
▲ 약 230mm 길이의 EVGA GeForce GTX560Ti DS SuperClocked D5 1GB를 장착하였습니다.
▲ PSU 장착전 8(4)핀 보조전원 케이블을 먼저 M/B에 연결한 뒤 PSU를 장착하면 조립을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선정리홀과 케이블 타이를 연결할 수 있는 걸쇠 구조물들이 많아 선정리도 쉬운 편입니다.
▲ 전원 인가시 HDD LED(RED)와 전원 LED(Blue)가 점등됩니다.
기본 제공되는 쿨링팬들이 일반 120mm 쿨링팬이며, 아크릴 윈도우 사이드 패널이 제공하지 않는 터라 비쥬얼적인 면을 생각하는 유저에겐 다소 밋밋한 외형으로 느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상단에 위치한 HDD Dock에 HDD와 SSD를 연결한 모습.
* 쿨링, 소음 테스트에 앞서 부위별 섀시 두께와 도막 두께를 측정하였습니다.
▲ 상단의 두께는 0.615T
▲ 아랫면의 두께는 0.619T
▲ 전면부는 0.60T
▲ 후면부는 0.627T
▲ M/B 장착부는 0.557T
▲ 5.25인치 베이는 0.576T
▲ 3.5인치 베이는 0.632T
▲ 우측 사이드 패널은 0.637T
▲ 좌측 사이드 패널은 0.589T를 보였습니다.
▲ 중저가형의 제품임을 감안한다면 양호한 섀시 두께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부위별 도막 두께의 측정 결과 비교적 두껍게 도색처리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멀티 채널 디지털 온도계를 이용하여 아이들시와 로드시의 온도를 측정하였습니다.
- CPU 온도 - CPU 히트스프레드에 매립한 센서를 이용하여 CPU 온도 변화 측정
- 케이스 상부 - 상단 원
- HDD 온도 - 부착한 센서가 테스트 도중 분리되어 결과값에서 제외
- 케이스 하단 온도 (CPU 주변부) - 하단 원
- CPU 히트스프레드에 홈을 파고 박막센서를 매립한 뒤 디지털 온도계를 이용하여 CPU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습니다.
* 인텔의 Thermal/Mechanical Design Guide에 따른 방식으로 유틸리티를 이용한 CPU 온도 테스트 결과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을 이용할 경우 인텔의 A/S는 받을 수 없으니 테스트 목적이 아닌 실사용 환경에서는 따라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데이터 로깅이 되는 디지털 온도계( Prova 83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CPU, CPU 주변부(케이스 내부 하단), 케이스 내부 상단, 시스템 주변부 온도를 측정 하였습니다.
- 전원 인가 후 10분 동안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15분 후 아이들시의 온도와 소음을 측정하였으며,
- AIDA64를 이용하여 CPU, HDD에 로드를 걸어주었으며,
- Fumark를 이용하여 VGA에 로드를 걸었습니다.
- 로드 후 15분 뒤의 온도와 소음을 측정하였으며, 로드 종료 후 15분 뒤 온도와 소음을 측정하였습니다.
- CPU Cooler(Thermolab Trinity)에 장착된 번들 팬과 추가 장착한 왑팬은 1020~1020rpm으로 고정하였습니다.
- 상단 120mm *2, 후면 120mm 번들 팬은 케이스에 기본 탑재된 멀티 팬 커넥터를 이용하여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 테스트 당시 실내 소음은 34.7dBA, 실내온도는 24.0~24.3℃ 였습니다.
- 테스트가 종료 된 뒤 30분간 사이드 패널을 열어 자연 냉각 후 동일한 방법으로 테스트를 재차 수행하였습니다.
▲ 일반적인 ATX 플렛폼의 동일한 내부구조(PSU 하단 장착, 동일한 수의 5.25인치 베이와 3.5인치 베이, 상단에 2개의 120mm 쿨링 팬 등)이 장착되는 케이스와의 비교가 아닌 터라 CPU cooler의 쿨링팬을 저속으로 설정(1020rpm)하여 CPU 온도는 다소 높게 나오는 편이었습니다.
추후 동일한 구조 또는 가장 유사한 구조를 지닌 ATX 플렛폼의 케이스와의 쿨링 비교 테스트 시 적정 수준의 RPM으로 상향 조정하여 테스트가 진행되면 보다 확실한 쿨링 성능을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VGA 온도 또한 블로워 쿨링팬이 탑재된 VGA가 아닌 사제 쿨러와 유사한 듀얼 팬이 장착된 제품이어서 블로워 팬이 탑재된 제품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추후 별도의 테스트를 통해 확인해 볼 예정입니다.
결과상에서 알 수 있는 점은 아이들시와 로드시 케이스 하단과 상단의 온도 변화가 역전되는 모습으로 RTX 플렛폼을 통한 케이스 내부 온도 순환이 아래에서 상단으로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아이들시엔 케이스 하단 온도가 상단보다 높지만 로드시엔 하단 온도가 상단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며, 케이스 내부 공기가 제대로 순환되지 못했다면 로드시에도 하단의 높아가 높아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번들로 제공되는 팬들의 경우 비교적 낮은 풍속을 보이고 있어서 좀 더 고풍속 고풍량 쿨링팬으로 교체된다면 쿨링에 좀 더 효과적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소음 테스트 결과입니다.
HDD에 로드를 걸어줄 경우 그렇지 않을 때보다 로드시 소음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HDD 자체 소음과 함께 공진음 또한 우측 사이드 패널에서 일정 수준 들리는 모습이었습니다.
공진음만 좀 더 줄일 수 있다면 전체 소음 또한 줄어드리라 여겨집니다.
MK2의 쿨링 지향성 미들타워 케이스인 K4 MOHICAN의 테스트 결론입니다.
Forcca " Case Test Result " | ||
1 |
제조사 |
MK2 |
2 |
제품명 |
K4 MOHICAN |
3 |
크기별 분류 |
미들타워 |
4 |
기능적 분류 |
쿨링지향성 케이스 |
5 |
제품 크기 |
190 * 482 * 465mm (폭*깊이*높이) |
6 |
무게 |
Kg |
7 |
재질 |
Steel |
8 |
색상 |
Black |
9 |
내부 도색 상태 |
Blue / Black |
10 |
부위별 두께 |
Test 결과 참조 |
11 |
파워 장착 위치 |
하단 장착 |
12 |
전면 팬 제공 유무 |
|
13 |
후면 팬 제공 유무 |
120mm 1ea |
14 |
상단 팬 제공 유무 |
120mm 2ea |
15 |
하단 팬 제공 유무 |
|
16 |
우측 사이드 패널 팬 제공유무 |
80~120mm 2ea 추가 장착 가능 |
17 |
번들팬의 스펙 |
|
18 |
우측 사이드 패널 상태 |
에어홀과 추가 장착 가능한 쿨링팬 고정용 나사홀 제공 |
19 |
전면 베젤부의 형태 |
탈부착형 타공망+먼지 필터로 된 3개의 5.25인치 베이 덮개 제공 |
20 |
전면 베이 덮개 유무 |
2개의 5.25인치 베이 덮개와 1개의 3.5인치 베이 덮개 기본 장착 |
21 |
먼지 필터 제공 유무 |
有(베이 덮개와 PSU 장착부 하단) |
22 |
노출형 5.25인치 베이 개수 |
3ea |
23 |
노출형 3.5인치 베이 개수 |
1ea |
24 |
내장형 3.5인치 베이 개수 |
8ea(측면 고정형 HDD 베이) |
25 |
2.5인치 베이 개수 |
無 - 3.5인치 베이에 가이드를 이용한 SSD 장착 가능 - 제공되는 멀티 브라켓을 이용하여 SSD 장착 가능 |
26 |
5.25인치 장착 방식 |
고정툴(우측 벽면) + 나사 체결식(좌측 벽면) |
27 |
3.5인치 장착 방식 |
고정툴 4ea |
28 |
CPU Cooler 장착 사이즈 |
DB 상에서는 최대 155mm |
29 |
VGA 장착 사이즈 |
DB 상에서는 최대 300mm |
30 |
선정리홀 유무와 개수 |
有(8ea) |
31 |
수랭호스홀 유무와 개수 |
有(2ea) |
32 |
멀티포트부 위치와 종류 |
케이스 좌측 전면 - USB2.0 × 2ea, Audio(HD Audio 케이스 상단 - HDD Dock, USB3.0 × 2ea |
33 |
발열 |
Test 결과 참조 |
34 |
소음 |
Test 결과 참조 |
35 |
도막 두께 |
Test 결과 참조 |
36 |
진동 |
|
37 |
M/B 트레이와 사이드 패널 사이 간격 |
|
38 |
Fan controller 제공 유무 |
|
39 |
악세사리 |
다용도 멀티 브라켓과 멀티 팬 커넥터 제공 |
40 |
특이사항 |
쿨링 지향성 미들타워 케이스로 독특한 RTX 플렛폼의 케이스 7ch 멀티 팬 커넥터 기본 장착 |
41 |
가격 |
39,000원(2012년 11월 3일 기준) |
|
1. 다소 투박한 외형이지만 쿨링 지향성 케이스다운 외형
5. 300mm 대의 대형 VGA 장착 가능 6. 사용자 편의성 제공 7. 케이스 내부와 사이드 패널 안쪽도 깔끔하게 도색 마감처리 8. 양호한 품질
|
|
1. 3.5인치 베이에 기본 장착된 고정툴은 8개의 베이 중 4개만 제공
3. 일회용 PCI 확장슬롯 가이드 4. 비쥬얼을 중시하는 유저에겐 다소 아쉬운 디자인 5. 사용자 설명서 내용이 부족
|
|
RTX 플렛폼이라는 독특한 내부구조, 활용도가 뛰어난 멀티 브라켓과 멀티 팬 커넥터, 3가지 타입의 USB3.0 커넥터 제공, HDD Dock, 고정툴을 이용한 무나사 시스템 지원 등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에 편의성, 확장/호환성이 양호한 쿨링지향성 미들타워 케이스
|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의 제품이지만 다양한 장점과 함께 다소 아쉽게 여겨지는 부분 또한 존재하는 제품이기도 합니다.
장점은 유지하고, 아쉬운 부분들은 수정, 보완한다면 중저가 시장에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줄 요약
"중저가 미들타워 케이스 시장의 타크호스"
USB 3.0 온보드와 하드독이 너무너무 멋져요 +_+
하지만.. 너무 투박한 디자인이랄까? 옆면 아크릴창이 하나 있고, LED 쿨링팬을 사용했었더라면 더 멋졌을 것 같아요 !
300mm vga이용시 ODD사용불가.. 음 300mm나 되는 vga 구경이나 해보고 싶네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