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관련 표기 : | 본 리뷰는 엑슬비젼코리아(http://www.ab-road.co.kr)으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진행된 리뷰입니다. |
---|
▲ In Win 케이스들은 다른 제품들과 달리 전면베젤부 분리시 전면베젤부 하단의 탈부착용 홀이 없습니다. 오렌지색 원내의 걸쇠를 바깥쪽으로 당겨준 뒤 전면쪽으로 살짝 당기면 좌측면이 분리가 됩니다.
▲ 우측면에도 세곳이 경첩처럼 걸려 있으므로 무리하게 당기면 파손이 될 수 있으니 전면베젤부 분리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또한 섀시 전면 상단에 접지가 되어 있어서 무리하게 분리시 전면베젤부를 당기면 접지 케이블이 끊어질 수도 있으니 주의.
▲ 섀시 전면부입니다. 다양한 선정리홀이 타공되어 있으며, 탈부착이 쉬운 먼지필터와 120mm RED LED팬이 기본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상단덮개가 분리된 상판의 모습입니다.
▲ 상판 안쪽에 기본 장착된 120mm일반팬도 탈부착이 쉬운 편입니다.
▲ 상단 덮개의 HDD Dock에 연결된 사타 전원, 데이터 케이블과 PW SW, PW LED, Reset SW 커넥터입니다.
▲ 전면베젤부에 연결된 온보드 타입의 USB3.0 커넥터와 Audio, USB2.0, HDD LED 커넥터 들입니다.
▲▼ 벌집구조의 빨간색 테두리 링은 탈부착형이어서 유저 취향에 맞게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설명서와 케이블 타이, 나사류 등 부속품들은 지퍼백에 담겨 있습니다.
▲▼ M/B 서포트 아래의 부속은 M/B 서포트를 체결할때 사용하는 부품입니다.
▲▼ 10개국어로 된 제품 특징을 설명하는 곳에 한글 설명이 없는 부분은 아쉽게 생각됩니다.
▲ 전면 하단 120mm RED LED 팬 앞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필터
▲ PSU 장착부와 중앙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탈부착형 먼지 필터
▲▼ HDD 베이 중 상단의 탈부착형 HDD 베이 좌측 벽면입니다.
▲ 기본 상태에서는 300mm 급의 VGA를 장착할 수 있지만 상단 HDD 베이 좌측 벽면을 제거할 경우 최대 409mm 길이의 VGA도 장착이 가능합니다.
* DB 상에서는 최대 172mm의 CPU cooler까지 호환이 된다고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 테스트결과 최대 162mm 높이의 CPU cooler가 사이드 패널과의 간섭없이 장착가능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 장착 가능한 CPU cooler 높이 관련된 DB 내용은 엑슬비젼코리아 담당자분께 전달되었으며, 해당 내용은 DB 상에서 수정될 것이라는 말씀을 전달 받았습니다.
간섭없이 장착 가능한 CPU cooler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In Win GT1 Gran Turismo - 간섭없이 장착 가능한 CPU cooler 높이는?
http://www.forcca.com/xe/124901
▲ 293mm의 GTX275를 장착하더라도 우측에 많은 공간이 남게 됩니다.
▲ 전체 길이가 약 242mm인 GALAXY GeForce GTX660 GC D5 2GB를 장착하였습니다. 여유공간이 많이 남습니다.
▲ 위와 같이 선정리가 된 상태에서 우측 사이드 패널이 다소 뻑뻑하게 닫히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M/B 장착부와 우측 사이드 패널 사이 간격이 약 10mm 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사이드패널의 돌출된 정도가 얕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 선정리에 따라서는 달라질 수 있음
▲ 전원 인가시 전면 하단의 120mm RED LED 팬은 정상적으로 점등이 되지만 전면베젤부 하단의 막힌 구조로 인해 점등된 LED 불빛이 가려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전면 상단 좌우측에 자리 잡은 HDD LED 역시 점등은 되지만 불빛이 약해 표가 잘 나지 않기도 합니다.
▲▼ 전면하단이 막힌구조가 아니었다면 RED LED 불빛이 좀 더 제대로 보일 것이고, 쿨링에도 좀 더 유리하지 않을까..
▲ DB 상의 표기된 0.7T의 섀시라는 대목과 달리 실측에서는 0.5~0.6T(좌측 사이드 패널만 0.7T를 간신히 넘기는...)의 결과를 보였습니다.
* 섀시 두께 부분에 대해서도 엑슬비젼담당자분께 해당 내용이 전달되었으며, DB 상의 내용이 수정될 것이라는 말씀을 전달받을 수 있었습니다.
▲ 섀시의 부위별 도막 두께의 경우 좌우 사이드 패널과 상단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0.03~0.04mm 정도 였습니다.
In Win의 쿨링 지향성 미들타워 케이스인 GT1 Grand Turismo White의 테스트 결론입니다.
Forcca " Case Test Result " | ||
1 |
제조사 |
In Win |
2 |
제품명 |
GT1 Grand Turismo White |
3 |
크기별 분류 |
미들타워 |
4 |
기능적 분류 |
쿨링지향성 케이스 |
5 |
제품 크기 |
Total 210 × 491 * 475mm (폭 × 깊이 × 높이) |
6 |
무게 |
Kg |
7 |
재질 |
Steel |
8 |
색상 |
White |
9 |
내부 도색 상태 |
Black |
10 |
부위별 두께 |
Test 결과 참조 |
11 |
파워 장착 위치 |
하단 장착 |
12 |
전면 팬 제공 유무 |
120mm Blue LED 1ea (1ea option) |
13 |
후면 팬 제공 유무 |
120mm 1ea |
14 |
상단 팬 제공 유무 |
120mm 1ea (1ea option) |
15 |
하단 팬 제공 유무 |
120mm 1ea Option |
16 |
좌측 사이드 패널 팬 제공유무 |
|
17 |
번들팬의 스펙 |
|
18 |
좌측 사이드 패널 상태 |
아크릴 윈도우 |
19 |
전면 베젤부의 형태 |
타공망으로 된 베이덮개 제공 |
20 |
전면 베이 덮개 |
3개의 5.25인치 베이 덮개 |
21 |
먼지 필터 제공 유무 |
有(전면, PSU 하단, 하단 중앙부) |
22 |
노출형 5.25인치 베이 개수 |
3ea |
23 |
노출형 3.5인치 베이 개수 |
|
24 |
내장형 3.5인치 베이 개수 |
6ea |
25 |
2.5인치 베이 개수 |
有 (3.5인치 베이 공용) |
26 |
5.25인치 장착 방식 |
고정툴(좌측 벽면) + 나사 체결식 |
27 |
3.5인치 장착 방식 |
HDD 트레이 |
28 |
CPU Cooler 장착 사이즈 |
최대 162mm (M/B와 CPU cooler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29 |
VGA 장착 사이즈 |
300mm(탈부착형 하드베이벽면 제거시 최대 409mm) |
30 |
선정리홀 유무와 개수 |
有(5ea) |
31 |
수랭호스홀 유무와 개수 |
有(2ea) |
32 |
멀티포트부 위치와 종류 |
케이스 전면 상단
- USB2.0 2ea, USB3.0 1ea, HD Audio 케이스 상단 - HDD Dock, 스위치식 팬 컨트롤러 |
33 |
발열 |
|
34 |
소음 |
|
35 |
도막 두께 |
Test 결과 참조 |
36 |
진동 |
|
37 |
M/B 트레이와 사이드 패널 사이 간격 |
약 10mm |
38 |
Fan controller 제공 유무 |
有 |
39 |
악세사리 |
|
40 |
특이사항 |
- 스위치식 팬컨트롤러 탑재
- HDD Dock |
41 |
가격 |
49,000원(2013년 3월 27일 기준) |
1. 다소 투박하지만 쿨링지향성 미들타워 케이스 다운 면모
- 타공처리된 전면 중하단부와 타공망으로 구성된 전면베젤 덮개
- 다수의 쿨링팬 장착 가능(전면 120mm 1ea, 상단 120mm, 후면 120mm 1ea 기본 장착, 전면 120mm 1ea, 상단 120mm 1ea, 바닥면 120mm 1ea 추가 장착 가능)
- 전면 120mm 쿨링팬, PSU 장착부 하단, 중앙 하단에 탈부착형 먼지필터 제공
- 타공 처리된 확장슬롯 가이드
- 2개의 수랭용 호스홀 지원
2. In Win 다운 사용자 편의성 제공
- 상단의 HDD Dock 제공
- 팬 컨트롤러 탑재
- 별도의 나사 체결없이도 하드웨어 장착 가능하도록 고정툴과 가이드 제공
- 탈부착형 HDD 베이 제공(최대 409mm 길이의 VGA 장착 가능)
- 다수의 선정리홀 제공
- 온보드 타입의 USB3.0 커넥터 제공
3. 튜닝적인 요소 가미
- 아크릴 윈도우 채용
- 전면 하단의 RED LED팬 기본 장착
4. White & Black 의 투톤 컬러로 깔끔하게 도색 처리
5. In Win 다운 편의성과 품질, 구조를 지닌 In Win 스러운 제품
1. 사용자에 따라서는 호불호가 나뉠 수 있는 투박한 디자인
2. 전면 중앙부에서 하단으로 이어지는 덮개 구조와 상단의 쿨링팬 덮개 구조는 타공부위를 상당부분를 막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쿨링적인 면이나 LED 팬의 불빛을 막아 시각적으로도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듯
3. HDD Dock과 멀티 포트에 마개나 덮개 미 제공
4. PSU 장착부 하단과 중앙 하단의 탈부착형 먼지 필터 탈착이 다소 불편한 편
- 타사 제품들의 슬라이딩 방식에 비해 불편한 편
5. DB와 달리 실제 섀시의 두께는 0.7T가 채 되지 않는다.(DB 수정 요청)
- 대부분 0.5T 대의 섀시가 사용되어 DB와는 조금 얇은 두께를 보이고 있음.
6. 일회성 확장 슬롯 가이드
7. 탈부착형 HDD 베이 벽면 탈부착이 다소 뻑뻑해서 불편
8. 우측 사이드 패널과 M/B 장착부 사이 간격이 협소한 편
편의성이나 구조적인 부분은 인윈 답다고 생각이 되지만 근래 출시되고 있는 비슷한 가격대의 타사 제품들과 비교시 호불호가 나뉠 것으로 보입니다.
공개된 DB상의 내용이 다른 2가지 부분에 대해서는 담장자분께서 수정이 될 것이라는 말씀을 전해주셨습니다.
전반적으로 지극히 In Win 다운 케이스라는 생각이 드는 제품입니다. 유저에 따라서는 디자인적인 부분에 있어 호불호가 나뉠 것 같으며, 일부 보완이 된 제품으로 거듭난다면 기존 In Win 사용자분들께도 꾸준한 관심을 이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n Win 케이스들이 편의성이나 구조적인 부분은 참 잘 만들어지긴 했는데 외형이 투박하다보니 호불호가 많이 나뉘는 것 같습니다. ^^
음 역시 보급형 가격대에서 전체적으로 두꺼운 철판은 좀 무리였군요.
너무 가성비로 마추려고 한것 같아서 몇몇 부분에서 아쉬운게 보이네요. 특히 우측에 선정리 공간이 10mm 인 점이 많이 아쉽군요.
디자인은 독특한게 나름 괜찮아 보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DB 제작시에 언급되었던 0.7T 두께의 섀시는 처음 접했을때 과연 이 두께에 이런 저렴한 가격이 가능한건가 싶을 정도였습니다.
요즘 저렴하면서 다양한 편의성과 부가기능이 추가된 제품들이 많이 나오다 보니 In Win에서도 신경을 쓴 것 같긴 한데 새시 두께는 사실 이해가 가는 대목이기도 하더군요.
M/B 장착부에서 우측 사이드 패널까지의 공간은 약 10mm 정도 밖에 되질 않습니다. 그래서 인지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 같은데 (돌출된 부위까지 포함한다면 20mm가 채 안될 것 같긴 하네요.) 돌출된 구조를 취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협소한 건 아쉽더군요.
섀시두께가 얇아서 아쉽지만 디자인은 제스타일이네요 +.+
가격대를 생각하면 섀시 두께는 어쩔 수 없어 보이기도 합니다.
인윈의 경우엔 디자인적으로 호불호가 많이 나뉘더군요. ^^
인윈은 역시 디자인이 저랑은 안맞네영..;;
그래도 가격대비 괜찮아 보입니다..
인윈 디자인은 선호하시는 분들과 그렇지 않은 분들이 극명하게 나뉘는 것 같습니다. ^^
편의성은 참 잘 갖춰졌는데 말이죠. ㅎㅎ
DB상의 CPU쿨러 높이제한이 보통 실제보다 적게 기입되는 경우가 많은데
반대로 더 크게 기입이 되어 그대로 믿고 구입했다 낭패였을 수도 있었는데
포르까 리뷰를 통해 바로 잡아 지겠군요. 리뷰 고생하셨습니다.
대부분의 업체에서 조금 낮게 표기하는 것 같습니다.
과하게 높게 표기를 했다가 유저원망을 듣는 것 보다는 조금 낮게 잡는 편이 나아 보이긴 하겠죠. ^^
조금씩 다양한 제품들에 대한 호환성 테스트를 하다보면 컨텐츠로 자리가 잡히지 않을까 조심스레 생각해봅니다.
그렇겠죠. 유통사가 알려준 정보 오류에 대한 건 유통사가 책임을 져야 하니까요.
그래도 너무 지나치게 케이스 폭 220인데 cpu쿨러 제한은 160이라고 그냥 너무 대충 안내하는경우도 있어
좀 그렇습니다. (단위 mm)
포르까에서는 지지난해부터 등장해온 듀얼타워 및 높은 높이의 cpu쿨러와의 호환성여부를 테스트 해서 많이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점점 테스트할 양이 많아지면 지금처럼 못할 수도 있겠지만
앞으로도 기대해보고 응원해봅니다.
테스트 결과로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말씀처럼 테스트해야할 분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긴 하지만 현재 미테스트 제품들을 조금씩 늘려 테스트하다보면 출시된 제품들만 추가로 테스트를 하면 되는 터라 어느 시점부터는 테스트 분량에 대한 압박은 조금 덜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화이트라서 예쁘군요.
개인적으론 심플한 디자인을 좋아하는데 인원은 좀 복잡하게 보이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