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관련 표기 : | 9900Max는 잘만으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았으며, Trinity는 제품을 사전에 구입하여 진행된 리뷰입니다. |
---|
1. 들어가며
Thermolab Trinity와 Zalman 9900Max의 성능 테스트결과를 기존 CPU cooler 테스트 결과에 취합하여 진행된 리뷰 입니다.
기존 테스트에 취합한 정도이긴 하나 트리니티의 성능이 어느 정도인지 한눈에 확인가능한 테스트를 한번 올려볼까 합니다.
개발자님의 후기를 보면 발열량이 150~200w 사이일때 최적의 성능을 보여준다고 했었는데 제가 테스트한 린필드 시스템(1.31250v/3.8GHz)가 대략 212.06w의 발열량이 예상되는 바 개발자님의 의도하신 발열량에 적합한 것 같고, 최적의 성능을 보여주리라는 예상하에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2. 패키지 외형, 제품 외형, 동봉된 부속품들 등은 각 제품의 링크 프리뷰를 참고해 주세요.
3. 테스트 시스템 소개와 조립방법
CPU : Intel Core i5-750(3.8GHz)
CPU cooler : Thermolab Trinity, Zalman CNPS9900Max
M/B : Gigabyte GA-P55A-UD6
RAM : OCZ DDR3 PC3-10666 CL7 Platinum 2G × 4
VGA : AXLE 9500GT 512MB LP
HDD : SATA3 WD 1TB CaviarBlue
Fan Con. : NCTop iGuard
Case : Turex D.I.Y 4.0
OS : Windows 7 Ultimate KR 64bit
Thermometer : Prova830
Thermal Comp. : Thermolab TL5-H3.5g
가. Thermolab Trinity 조립 방법
▲▼ 바람시리즈에 제공되는 팬클립을 이용하여 듀얼 팬 구성을 하였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팬은 Nanoxia FX12-2000 입니다.
▲▼ Thermolab 이라는 제조사의 이니셜이 위로 보이게 백플레이트를 놓고, 나사를 홀 가운데에 위치시킨 뒤 고무와셔를 끼워줍니다.
▲ 1156 백플레이트에 돌출된 나사를 홀에 맞춘 뒤 백플레이트를 장착해줍니다.
▲ 기존 바람시리즈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마트클립을 장착해줍니다. 바람시리즈와 달리 스마트클립이 걸릴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 바람시리즈와 동일하게 손잡이가 달린 암나사를 체결해서 쿨러를 고정시켜 줍니다.
▲▼ 메모리 뱅크와 별다른 간섭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 130mm 팬이 최하단 방열판보다 아래로 내려 장착된 구조를 취하고있어 전원부 쿨링에도 효과가 좋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 새로 추가된 이지클립을 이용한 조립 방법
▲▼ 새로 추가된 이지클립을 이용한 장착 방법입니다. 이지클립의 경우 한쪽에 접시머리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홀이 가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팬이 장착된 반대 방향인 배기쪽에 이지클립을 장착합니다.
▲ 손잡이가 달린 암나사를 먼저 배기쪽에 체결해줍니다.
▲ 이지클립이 장착된 배기쪽을 먼저 걸어준 뒤
▲▼ 팬이 장착되어있는 방열판의 흡기쪽도 암나사를 체결하여 쿨러를 고정해줍니다. 이지클립이 개발된 건 M/B 제조사에 따른 M/B의 레이아웃이 다른데다 제조사마다 사용하는 전원부 방열판의 크기가 달라 암나사 체결 시 전원부 방열판에 손가락이 걸려 체결이 힘들다는 점에 착안하여 개발되었다고 들었습니다. 필자가 보유중인 기가바이트 P55A-UD6 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암나사를 체결할 수 있었으며, M/B에 따라 전원부에 납땜이 된 캐패시터의 위치가 달라 이지클립을 사용한 쿨러 장착시 이 캐패시터와 이지클립이 간섭을 보일 수도 있으니 사전에 확인을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나. Zalman CNPS9900Max 조립 방법
▲▼ 빨간 원내의 돌기가 있어 가이드의 자리를 잡게 해 줍니다.
체결된 나사를 풀어 가이드를 끼운 뒤 나사를 조여 가이드를 완전히 고정시켜 줍니다.
▲ 백플레이트에 절연을 위한 양면테잎을 부착시켜 줍니다.(필자의 경우 M/B에 닿는 부분은 떼지 않았습니다.)
▲▼ 가운데 홀에 나사를 위치시킨 뒤 플라스틱 홀더를 끼워 나사를 고정시켜 줍니다.
▲ 기존 9900LED의 경우 나사를 고정할때 드라이버와 쿨러의 간섭을 보여 조립이 쉽지 않은 편이었지만 9900Max에서는 ㄱ자형 린치를 제공하여 한결 쉽게 조립이 가능했습니다. 단지 린치의 자성이 약해서 나사를 보드위에 얹힐 때 수월하진 않았습니다.
▲ 메모리 뱅크와도 별다른 간섭을 보이지 않습니다.
4. 성능테스트
- 시스템은 사용하는 유저에 따라 다양한 하드웨어로 구성이 됩니다. 동일한 하드웨어로 구성을 하더라도 이들 하드웨어가 장착된 케이스에 따라, 케이스의 내부 구조에 따라, 선정리 정도에 따라, 케이스에 장착된 팬에 따라 케이스 내의 공기순환은 유저마다 각기 달라지게 됩니다.
공랭 시스템에서 케이스 내부 공기순환은 CPU 쿨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다양한 하드웨어에 따른 변수를 한번의 테스트에 모두 적용시키기엔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유저의 모든 환경을 동일한 기준으로 잡기 어렵습니다. 때문에 이런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오픈 테스트를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 Turex D.I.Y 4.0 오픈 케이스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케이스를 눕혀 쿨러를 세운 형태가 아닌 케이스를 세워 쿨러가 지상과 평행이 되도록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 테스트 당시 실내온도는 22℃±0.6℃, 테스트 시스템의 주변부온도는 21.6~22.6℃였습니다.
테스트 시스템의 주변부 온도를 0.1℃까지 정확하게 고정시키지 못한 부분은 저로서도 어쩔 수 없는 부분입니다.
- Trinity의 경우 저소음모드 680~700rpm, 일반 모드 1080~1100rpm, 일반 모드 최대인 1640~1660rpm으로 싱글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Nanoxia FX12-2000을 추가 장착하여 듀얼 팬 구성으로 동일한 rpm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CNPS9900Max의 경우 듀얼 팬 장착이 되지 않는 쿨러인 점을 감안하여 저소음 최소rpm인 880~910rpm, 처소음 최대 rpm인 1330~1360rpm, 일반 모드 최소인 1000~1030rpm과 일반 모드 최대인 1550rpm으로 진행하였습니다.
- 써멀컴파운드의 경우 지난 CPU cooler 테스트에 결과를 추가하기 위해 지난번과 동일한 써멀컴파운드를 사용하였으며 번들로 제공되는 써멀컴파운드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 iGuard를 이용하여 팬의 rpm을 강제로 해당rpm으로 고정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 전원인가 후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로 10여분을 보낸 뒤 다시 이때부터 10분간 아이들 상태의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AIDA64를 이용하여 로드를 걸어 10분간의 로드시 온도를 측정하였습니다. 결과에서 온도는 Idle과 Load 10분 뒤 테스트 종료 직전 온도를 취합하였습니다.
매 테스트 종료 후 30여분간 자연냉각을 시킨 뒤 다시 상기의 동일한 방법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 데이터 로깅이 되는 Prova830 디지털 온도계를 이용하여 1초간 온도를 저장, 테스트가 종료되는 10분 뒤 온도를 최종 결과로 사용하였습니다.
▲ Trinity 싱글 테스트입니다.
▲ 9900Max 테스트입니다.
▲ 예상과 달리 CNPS9900Max의 경우 비교적 저rpm에서도 상당한 쿨링성능을 보였으며, 일반 모드 최저 rpm인 1000~1030rpm에서는 트루쿠퍼보다 나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5차례 걸친 재 테스트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어 필자를 첫번째로 당혹하게 만들었습니다. 그에 반해 Trinity의 경우 저소음모드 최저 rpm에서는 온도가 다소 높게 나왔으며, 1000rpm대에서는 중상위권에서 좀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BARAM2010, Megahalems, True Black 등 하이엔드급 타워형 쿨러들보다 미세하게 나마 앞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Trinity와 CNPS9900Max 두 쿨러 모두 최대rpm으로 올려도 1700rpm이 되질 못하지만 쿨링성능은 좋은 편으로 나왔습니다. 9900Max의 경우 저소음모드 최대rpm인 1330~1360rpm으로도 비교적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 싱글 팬 결과들을 모두 취합하였습니다.
▲ CNPS9900Max의 경우 추가로 팬 장착이 되지 않지만 Trinity의 경우 바람시리즈에 사용되는 팬클립을 이용할 경우 추가로 팬 장착이 가능하여 듀얼팬을 구성할 수 있게 됩니다.
▲ 저소음모드 최소rpm인 680~700rpm일때는 싱글일때보다 7도 정도 온도가 하락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반모드 최저rpm인 1100~1110rpm에서는 트루쿠퍼보다 나은 쿨링성능을 보여주어서 필자를 또 한번 놀라게 하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 또한 5차례 이상 재차 테스트를 하였지만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싱글보다 듀얼일때 Trinity의 성능이 좋아지는 모습이었으며, 개발자의 후기에서 나왔듯 150~200W 사이의 발열에 최적화를 시켰다는 말에서처럼 180W 대의 발열을 보이는 오버클럭상태라면 트리니티의 성능이 최적을 이룬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 듀얼 최대rpm에서의 성능은 싱글일때보다는 다소 떨어지지만 그래도 상위권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격대와 구동되는 팬의 rpm을 생각하면 하이엔드급 타워형 쿨러 부럽지 않은 것 같네요.
Trinity는 고rpm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보다 저rpm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 듀얼 팬 모드의 결과들을 취합하였습니다. 싱글일때보다 쿨링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최저rpm일때는 싱글이던 듀얼이던 다소 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모든 결과들을 하나의 그래프로 정리하였습니다.
▲ rpm 증가에 따른 팬의 소음을 측정해보았습니다.
쿨러와 소음계의 거리는 30cm를 두었습니다. 두 쿨러 모두 1000rpm까지는 정숙한 편었지만 1100rpm이 넘어가면서 팬 소음이 조금씩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2011년 2월 21일 16시 20분 기준 가격비교싸이트 최저가입니다. 일부 제품들은 판매가 되고 있지만 작년보다 오히려 상승된 가격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 제품은 단종수순을 밟고 있어 가격이 인상되었습니다. 특정 제품은 유통사가 바뀌면서 가격이 인상이 되었군요.
5. 마치며
이로서 Thermolab Trinity와 Zalman CNPS9900Max의 테스트를 모두 마무리하겠습니다.
테스트를 하면서 느낀 부분들입니다.
* Thermolab Trinity *
장점
1. 기존 자사 제품들과 달리 화려해진 패키지
2. 좌우비대칭 구조를 통한 메모리뱅크와의 간섭이 없으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제품 퀄리티
- 4개의 U자형 히트파이프가 좌우비대칭을 이루며 히트파이프가 CPU 히트스프레드에 직접 닿는 방식 채택
- 최상위, 최하위 방열판은 지문으로 인한 부식과 변색 방지를 위해 검정색 산화피막처리
- 최상위 방열판에 제품별 시리얼넘버를 레이져로 각인시켜 제품마다 추적 관리
- 높이가 150mm 밖에 되지 않아 다양한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음
- 130mm 팬이 방열판 아래까지 위치하여 전원부 쿨링에도 효과적
3. ADDA사의 130mm 번들팬 제공
4. 인텔 775, 1156/1155, 1366 플렛폼과 AMD AM2, AM2+, AM3까지 모든 시스템에 장착이 가능한 뛰어난 확장성
- 스마트클립과 이지클립(1156, 1155 소켓용)을 제공하여 조립편의성이 뛰어남
5. 고무 팬 홀더를 제공으로 팬 진동방지
6. 4가닥 4핀 커넥터의 채용으로 PWM 지원하며 저항커넥터(SC3)를 제공하여 저소음모드로 구동가능
- 저소음 모드 시 680/700~1100rpm, direct 연결할 경우 1080/1100~1660rpm으로 구동
7. 한글과 영문으로 소켓별 조립방법이 자세하게 설명된 사용자 설명서 제공
8. 유저 임의로 듀얼 팬 장착가능
- 기존 자사의 바람시리즈에 사용되는 팬 클립을 이용하여 120mm 팬 추가 장착 가능
9. 150~200w 범위내에서 최적의 쿨링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제품다운 쿨링성능을 보여줌
- 발열량이 200w 미만의 국민오버클럭으로 사용하는 유저에게는 적당한 제품으로 여겨짐
아쉬운 부분
1. 번들팬으로 제공되는 130mm 팬의 경우 Trinity에 최적화되게 제작된 팬으로 다른 팬과 호환이 되지 않는다.
2. 기본 제공되는 130mm 팬은 LED 팬이 아니어서 튜닝적인 면을 선호하는 유저에겐 다소 아쉬울 수도.
3. 이지클립의 경우 일부 M/B 에 따라 전원부 캐패시터와 간섭을 보일 수 도.
4. 특정 rpm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팬 소음 발생
바라는 부분
1. 싱글 팬보다 듀얼팬 구성시 좀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는 터라 듀얼팬 구성을 위한 부속품도 보완 추가되길
* Zalman CNPS9900Max *
장점
1. 외부 충격으로부터 쿨러를 보호하도록 2중 포장되어 있음
2. 잘만 제품다운 깔끔한 외형과 양호한 제품 퀄리티
- 흑진주니켈도금처리를 하여 잘만다운 완성도 높은 외형과 퀄리티를 보여줌
3. 거울래핑처리를 한 깔끔한 베이스
4. 인텔 775, 1156/1155, 1366 플렛폼과 AMD AM2, AM2+, AM3까지 모든 시스템에 장착이 가능한 뛰어난 확장성
5. 기존 9900제품군보다 더 커진 135mm 저소음 LED 팬 장착
6. 4가닥 4핀 커넥터의 채용으로 PWM 지원하며 저항케이블(RC7P)을 제공하여 저소음모드로 구동가능
7. 비록 싱글 팬이 장착되어 있지만 상위권의 쿨링 성능
- 개선된 히트파이프의 사용과 135mm 팬 장착으로 쿨링성능향상
- 잘만의 원통형 쿨러 특유의 강력한 전원부 쿨링성능
8. 한글 영문의 된 사용자 설명서
- 조립이 서툰 유저를 배려한 한글/영문으로 된 사용자 설명서는 쉽게 조립을 할 수 있게 도와줌
9.기존 9900시리즈보다 조립이 한결 편리해짐
아쉬운 부분
1. 기존 9900시리즈보다 조립이 한결 편리해지긴 했지만 볼트의 크기가 작은데다 제공되는 ㄱ자형 렌치의 자성이 약해 볼트를 보드에 얹기 다소 불편
2. LED팬을 제공하나 LED가 다소 약한 면이 있음
3. 특정 rpm이 넘어가면 함께 상승하는 팬 소음
두 제품 모두 제품마다 특징이 잘 들어난 테스트 결과라 생각합니다.
Thermolab Trinity는 보급형 쿨러 가격에 듀얼팬 구성시 성능은 상위권의 쿨링 성능을 보여주고 있으며, Zalman CNPS9900Max는 하이엔드급 쿨러 가격대에 성능 또한 하이엔드급이었습니다. 출시초기보다 가격이 좀 더 낮아져 초기보다 부담이 좀 더 줄어들었다는 점과 전원부 쿨링성능이 좋다는 점에서 좋은 점수를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후 좀 더 다양한 쿨러 테스트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잘만 쿨러들은 전반적으로 일정 RPM 이상으로 동작이 될 경우에 ...
따라서 팬 소음도 같이 증가하는 것이 조금 아쉽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