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일팬과 듀얼팬의 성능차, 그리고 구성 목적을 알고자 테스트를 요청합니다.
-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변수가 보다 적은 단일 타워형 히트씽크 제품을 선택하여 테스트 해주세요.
< 준비 및 조건 >
1. 예) 베노무스x 를 준비한다 (듀얼타워의 경우 히트파이프를 두 번 거치기 떄문에 변수가많아지니 패스)
2. 베이스에 맞는 120mm 쿨링팬 동종을 여러개 준비한다. 한 번의 테스트로는 부족함이 있으니 여러종류로.
(3핀을 쓰고 팬컨을 물리거나, PWM 기능을 활용할 4핀 팬을 준비하거나 )
< 실 시 >
1. 베노무스를 단일팬만 통상적인 방향인 흡기로 장착
2. 팬의 RPM은 다른 제품과 비교 가능하게 포르까에서 현재까지 실시했던 RPM조건인 1,000RPM 으로 적용.
(너무 높으면 추후에 RPM조절을 통해 온도를 맞출 때 어려움이 있으니 1000이 좋음)
3. 테스트 시작.(지금까지 포르까에서 테스트한 시스템 동일하게)
4. 1,000RPM에서 나온 결과값 체크 . 온도와 소음값 (중요 결과값) , 팬의 RPM (참고 자료)
5. 동일한 팬 듀얼로 장착하여 1,000 RPM으로 맞춘 후 테스트 시작
5-1. 이 때의 결과값 체크 . 온도와 소음값 (중요 결과값) , 팬의 RPM (참고자료, 당연히 1,000RPM)
5-2. 둘의 결과값을 비교하여 온도가 동일할 경우엔 소음체크 (중요결과값)
5-3. 온도가 상이할 경우엔 결과값 체크
6.온도가 더 낮은 쪽의 결과값을 기준삼아 온도가 더 높은 쪽의 시스템 셋팅에서 변수 부여. (팬RPM 을 더 높게 올려서 온도값에 맞춤)
6-1. 온도값이 동일해지면 그때의 소음치(중요 결과값) 와 팬RPM(참고자료) 체크
결과값 정리
(가정)
1. 단일팬의 경우보다 듀얼일 경우 온도는 조금 더 잡지만 소음이 증가.
2. 그래서 온도를 동일하게 맞출경우 단일팬 셋팅에서 팬 RPM을 올려야함
3. 결국 소음치는 비슷하게 형성되거나 단일팬 쪽이 더 높게 나옴
4. 결과값에 따라 듀얼팬 구성하는 이유 도출 : 팬의 RPM을 낮게 세팅하여 단일팬과 동일한 퍼포먼스를 보여줌. 저소음에 유리
----- 포대장님의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
여유가 있다면 팬의 RPM 을 더 줄여서 600내지 700 정도로 세팅한다면 또 달라질 것 같아요.
600RPM 쌍팬이면 쌍팬이어도 조용하니까요. 같은 온도값을 내기위해 단일에서 800RPM으로 올린다하더라도
쿨링팬에 따라 저소음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니 그럴떈 소음치가 같게 나온다면 굳이 듀얼을 할 필요가 없다. 라는 결론이
나올 수도 있겠죠.
이 테스트가 끝나면 원래 알고 싶었던 테스트인
92mm 쌍팬과 120mm 단일팬의 경우를 대입해서 테스트 한 번 더 부탁드립니다.
---------------------여기까지 오류가 있는 부분은 짚어주세요. ----------------------------------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일단 말씀하신 부분 중 일부는 현재 포르까에서 진행중인 테스트 방식과 맞는 부분도 있네요.
이를 테면 동일한 팬을 사용한 테스트(포르까에서는 120mm 쿨링팬이 장착가능한 타워형 쿨러의 경우 왑팬 120mm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동일한 시스템(린플드 3.8GHz로 오버하여 약 212W 정도의 발열에 세팅이 되어있습니다.)에서 동일한 시스템 주변부 온도로 세팅하고, 다시 쿨링팬은 동일한 RPM(싱글 1000RPM, 싱글 2000RPM, 듀얼 1000RPM, 듀얼 2000RPM)으로 세팅해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음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쿨링팬의 팬속도를 기준으로 삼은 이유는 생활소음이 들어가 있는 부분에서 소음을 기준으로 잡게 되면 번들팬에 따라 어떤 팬은 1000RPM에서 38dBA를 보였다면 어떤 번들팬은 1000RPM에서 40dBA를 보일 수가 있습니다.
베어링 타입에 따른 소음과 함께 풍절음까지 팬소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다 무향실 또는 반무향실이 아닌 상태에서는 생활소음까지 들어가기 때문에 소음을 기준으로 잡지 않고 있습니다.
동일한 소음을 보인다고 가정한다면 어떤 번들팬은 1000RPM에서 38dBA를 보이지만 어떤 번들팬은 1500RPM에서 38dBA를 보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팬속도가 다른 상황에서 소음만을 기준으로 잡게 되면 아무래도 동일한 소음이라도 팬속도가 빠른 쪽이 유리하게 되겠죠.
동일한 팬을 사용하더라도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로 RPM을 조절하는 장비가 아닌 단순히 M/B의 PWM기능을 이용할 경우 M/B 제조사와 제품별 인가되는 전압이 달라지게 되서 동일한 쿨링팬을 사용하더라도 쿨링팬의 RPM은 달라지게 됩니다. 반대로 동일한 M/B를 사용하더라도 쿨링팬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포르까에서는 소음이 기준이 아닌 기준으로 잡은 쿨링팬과 번들팬들의 RPM을 동일하게 설정한 뒤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간혹 번들팬의 RPM이 2000RPM이 넘기지 않는 다면 최대 RPM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하죠.
이런 이유로 인해 말씀하신 부분 중 테스트 방식에 대해서는 일부 동일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네요.
하지만 중간 부분에서 말씀하신 온도를 맞추기 위해 RPM을 조절한다는 부분은 의미가 없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A 제품과 B 제품이 동일 쿨링팬과 번들팬들로 동일 RPM에서 성능이 나뉘어 졌다면 굳이 소음 테스트를 위해 RPM을 조절할 필요는 없기 때문입니다.
소음 테스트를 위해서 RPM을 조절한다는 대목은 위의 내용과도 이어지는 대목인 것 같습니다.
PWM을 이용한 테스트시엔 번들팬에 따라 인가되는 전압이 천차만별이라 소음이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결과가 이미 나와 있는 상황에서 온도를 맞추기 위해 RPM을 달리해서 소음값을 측정할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쿨링팬의 소음부분이 궁금하다면 차라리 쿨링팬 단독 소음 테스트와 쿨링팬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팬컨트롤러 또는 디지털 RPM 조절기 등을 이용해서 RPM대별 소음을 측정한 뒤 그 결과들을 비교하는 게 오히려 맞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동일한 RPM으로 테스트를 했을 경우 온도가 달라지게 되면 해당 제품들에 대한 성능이 판명될테고, RPM대별 소음을 측정한 뒤 소음비교를 해보면 제품들의 풍절음을 포함한 팬 소음 비교 또한 될테니 말이죠. ^^
하지만 말씀하신 부분의 테스트는 제품들간 비교 테스트보다는 특정 제품의 RPM대 온도 비교, PWM 기능 사용시 온도 변화에 따른 팬소음과 온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함이니 특정 제품에 한해서 테스트는 진행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쩌면 말씀하신 소음비교를 위한 RPM 조절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현재 포르까에서 진행하는 테스트 방식이라 굳이 중복으로 테스트를 할 필요까진 없을 것 같네요.
다만 위 단락에서도 말씀드린 바와 같이 특정 제품에 대한 쿨링팬의 RPM에 따른 온도 변화 측정, 쿨링팬 조합에 따른 성능차이, 소음에 따른 온도 변화 등은 테스트해보면 재미난 기획기사가 될 것 같긴 합니다.
끝으로 92mm 쌍팬과 120mm 단일팬 테스트는 음.
당장은 힘들어도 요청란에 흔적을 남겨 주시면 해당 제품간 비교 테스트는 진행해보겠습니다.
ps
근데 말씀하신 두 제품은 크기는 다르지만 어쩌면 호환성이란 컨셉을 놓고 보면 장착되는 쿨링팬의 크기는 달라도 같은 범주에 속하는 제품이란 느낌이 들긴 하네요. ^^;